내과전문클리닉
소화기질환은 잘못된 식습관이 대표적인 원인이며,음주와 흡연, 스트레스, 헬리코박터균의 감염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위, 대장 내시경과 복부초음파를 통해 질환의 원인을 찾아 치료합니다.
위장관질환 :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암, 대장암, 만성변비, 장염 등 간질환 : 급성 간염,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지방간 등 췌담도 질환 : 췌장염, 담석 등
주요원인
헬리코박터균 감염
스트레스
약물복용, 흡연
치료
정기적인 위내시경 검사로 건강상태를 체크하기를 권장합니다.
맵고 짠 음식, 탄산음료 등 과도한 자극을 주는 음식을 삼갑니다.
위 점막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알코올도 금물입니다.
식사는 가급적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번에 너무 많은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진단
간염의 진단시에는 먼저 환자의 간염의 위험인자를 자세히 조사하고, 혈액을 통한 간기능검사와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합니다.
주요증상
눈의 흰자위와 피부가 노랗게 되고 소변색이 진해집니다.
열, 복통 그리고 배가 불러오는 증상을 보입니다.
악화되면 피로와 나른함, 식욕부진, 메스꺼움 등을 느끼게 됩니다.
예방/생활습관
A형 간염을 막기 위해서는 청결한 생활을 하여야 합니다.
예방백신을 맞아 항체를 가지도록 합니다.
간의 기능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과롸와 술의 섭취를 피합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합니다.
신선한 야채, 과일 등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진단 | 공복혈당(mg/dL) | 경구당부하 검사 2시간(mg/dL) | 당화혈색소(%) |
|---|---|---|---|
| 정상 | 100mg/dL 미만 | 140미만mg/dL | 5.7% 미만 |
| 당뇨병 전단계 |
100-125mg/dL | 140-199mg/dL | 5.7~6.4% |
| 당뇨병 | 126mg/dL 이상 | 200mg/dL 이상 | 6.5% 이상 |
| 혈당 조절 목표 | - 공복 혈당 : 70~130mg/dL - 식후 2시간 혈당 : 90~180mg/dL - 잠자기 전 혈당 : 100~140mg/dL -당화혈색소(HbA1c) : 6.5% 미만 |
|---|---|
| 혈압 조절 목표 | - 단백뇨가 없으면 : 140/85mmHg 미만 - 단백뇨가 있으면 : 130/80mmHg 미만 |
| 혈중지질 조절 목표 | - 중성지방 : 150mg/dL 미만 - 저밀도 콜레스테롤 : 100mg/dL 이하 - 고밀도 콜레스테롤 : 남 40mg/dL 이상 / 여 50mg/dL 이상 |
유의한 경동맥 협착이 확인된 경우
표적장기손상 혹은 심혈관계질환의 주요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환자에 따라서 목표치를 하향조정할 수 있다.
연령(남≥45세, 여≥55세), 관상동맥질환 조기발병 가족력, 고혈압, 흡연, 저HDL 콜레스테롤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서; 한국지질, 동맥경화학회(2022)
급성심근경색증은 기저치의 LDL 콜레스테롤 농도와 상관없이 바로 스타틴을 투약한다.
급성심근경색증 이외의 초고위험군의 경우에 LDL 콜레스테롤 70mg/dL 미만에서도 스타틴 투약을 고려할 수 있다.
유의한 경동맥 협착이 확인된 경우
표적장기손상 혹은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 환자에 따라서 목표치를 상향조정할 수 있다.
중등도 위험군과 저위험군의 경우는 수주 혹은 수개월간 생활습관 교정을 시행한 뒤에도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을 때 스타틴 투약을 고려한다.
이상지질혈증 진료지침서; 한국지질, 동맥경화학회(2022)
| 19~29세 | 30~39세 | 40~49세 | 50~64세 | 65세 이상 | |
|---|---|---|---|---|---|
|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 | 10년마다 접종 | ||||
| 인플루엔자 | 매년 접종 | ||||
| A형간염 | 접종 | 항체 검사 후 접종 | 고위험군은 항체 검사 후 접종 |
||
| B형간염 | 접종력이 불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
고위험군은 접종력이 불확실할 때 항체 검사 후 접종 | |||
| 인유두종 바이러스 | 여성 접종 | ||||
| 폐렴사슬 알균 | 고 위험군 접종 | 접종 | |||
| 대상포진 | 50세 이상 접종 | ||||
| 코로나예방접종 | 매년 접종 | ||||